본문 바로가기

HR매거진

중소기업 복지플랫폼! 근로자들의 복지에 대한 갈증해소~

2020-02-13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 이하 ‘대한상의’)가 함께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지향상을 위해 2019년 9월에 출범한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한 것으로 평가된다.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은 대한상의가 국내‧외 사례 연구, 중소기업 대상 서비스 수요조사 등 1년간의 사전준비를 통해 선별한 휴양·여행, 취미·자기계발, 건강관리, 생활안정, 상품몰 등 5개 분야에 대해 21개 기업이 제공하는 복지상품을 중소기업 임직원에게 시장 최저가 혹은 보다 할인된 금액으로 제공한다.

 

<대표적 할인혜택 제공 사례>

* [여행·휴양] 하나투어, 아고다 등 5~10% 추가할인[취미·자기계발] CGV 관람권 4000원 할인, 밀리의 서재 20% 할인[생활‧안정] 교원라이프(상조)/교원웰스(정수기 등) 교원 임직원가로 제공 [상품몰] SK엠앤서비스 SK 임직원가로 제공 등


<복지플랫폼 제휴기업>

- 휴양소(숙박) : 샬레코리아, 아고다

- 카셰어링 : 그린카 

- 여행상품 : 하나투어, 투어캐빈

- 운동시설 : 리프레쉬클럽

- 영화 :  CJ CGV

- 레저 : 넥스트에너지

- 어학 : 시원스쿨

- 도서 : 밀리의서재

- 건강관리 : 선헬스케어, OK닥터

- 상조/웨딩 : 교원라이프, 한마음F&C, 예다함

- 정수기등 : 교원웰스

- 화환 : JTI플라워

- 재무설계 : 한국생애설계

- 위탁급식 : LSC푸드

- 상품몰 : SK엠앤서비스, SK디지털샵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은 작년 9월 출범 이후 4개월 동안 4,600개 기업, 6만650명이 가입해 출범 당시 목표였던 1,000개 기업을 4.6배 초과 달성했다.

 

박영선 장관은 “이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복지에 대한 갈증을 보여준다”면서 “근로자 복지향상은 기업의 몫이나, 경영 여건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 정부가 최소한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이 그러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기부와 대한상의는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을 중소기업의 선택적 복지제도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신규 복지서비스 기획 및 발굴, 중소기업 복지투자 유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중소기업 근로자의 수요가 많은 새로운 복지서비스를 확충해 나간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시장 최저가’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원칙을 고수하면서,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고 서비스 공급업체를 5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역별 특화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특별관을 개설할 계획이다.

 

둘째, 중소기업 복지향상 모델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으로 복지포인트를 지급하는 중소기업을 성과공유기업으로 지정해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복지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고용노동부와 협업을 통해 공동근로복지기금 설립을 활성화하고, 공동기금별로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선별하여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리고, 동반성장위원회와도 협업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형 복지모델 확산을 위해 대기업과 협력업체인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자금을 조성하고, 협력업체 근로자에게 복지포인트를 지급하는 사례 발굴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을 몰라 활용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이 없도록 지역상의 등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한 전국설명회 개최, 복지플랫폼 활용 우수사례로 SNS 콘텐츠 제작 등 지역‧업종별 맞춤형 홍보를 강화하고, 신규 구매 및 재구매에 대한 할인쿠폰 지급, 시즌별 기획전 등 다양한 행사를 기획할 계획이다.

 

* (행사 사례) SK디지털샵 입점기념, ‘20년 1~2월 열흘간 ‘에어팟 프로’ 특가행사 진행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은 중소기업이라면 별도의 가입비나 이용료 없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 복지플랫폼(welfare.korcham.net)에서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사내 복지담당자가 사업자등록증, 중소기업 확인서* 등의 필요서류를 제출하면 24시간 내에 가입승인이 된다.

 

* 중소기업확인서는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http://sminfo.mss.go.kr)에서 온라인 신청을 통해 발급 가능

 

가입 승인 후 해당 기업의 임직원 정보를 임력하면 임직원에게 개별 아이디가 발급되어 임직원들이 자유롭게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 복지플랫폼 가입 및 이용에 관한 문의는 고객센터(1588-6555)로 하면 된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일자리정책과 배주형 사무관(☎ 042-481-1664), 대한상공회의소 회원복지팀 남현재 과장(☎ 02-6050-345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추진배경

 

ㅇ 중소기업에 취업을 기피하는 사유*는 임금 외에 낮은 ‘근로복지 여건’

 

* 중소기업 인력난 원인(‘18, 중기중앙회): (1위) 낮은 임금 및 복지, (2위) 부정적 인식

** 4대보험을 제외한 月복지비용(‘18): 대기업 32만원 vs 중소기업 13만원 (대기업의 43%)

 

ㅇ 개별 중소기업이 단독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건강검진, 자기계발 등의 복지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중소기업 복지플랫폼 출범(’19.9~)

 

□ 제공서비스

 

ㅇ 휴양·여행, 취미·자기계발, 건강관리, 생활·안정, 상품몰 등 5개 분야

 

ㅇ 복지플랫폼과 제휴한 21개 기업이 복지상품을 시장 최저가 혹은 보다 할인된 금액으로 제공

 

□ 제공대상 : 전국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 제공방법

 

ㅇ 사내 복지담당자가 복지서비스 플랫폼(welfare.korcham.net) 회원으로 가입하면 직원 수대로 아이디를 부여받아 사용

 

* 중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 제출 필요 ** 별도의 플랫폼 가입비, 이용료 없음

 

□ ‘19년 운영실적 : 4,600개사, 60,650명 가입, 9,143건, 4억 원 주문

 

중소기업 복지플랫폼‘20년 중점 추진계획 

시장 최저가인 신규 복지서비스 지속 발굴 등 복지서비스 확대

 

ㅇ 신규 제휴기업을 발굴하고 브랜드K 제품 등 복지상품을 확충하여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권 확대

 

- 이용률이 높은 상품몰을 추가로 유치하고, 취미‧자기계발 분야 기업과 제휴하는 등 서비스 공급업체 확대(’19년 21개 → ‘20년 50개)

 

* LG 임직원몰 등과 제휴 협의 중, 브랜드K몰 신설 관련 중소기업유통센터와 협의 추진

 

- 기존 서비스 강화를 위해 서비스 확충 및 가격할인 확대, 수요가 많은 공연‧콘서트 등 문화생활 서비스 추가 제공

 

ㅇ 지역 내 여행‧휴양시설, 특산품 등을 취급하는 지역특별관을 개설하여 지역별 특화서비스 제공

 

* (예시) 제주관 : 제주도 내 숙박시설, 렌터카업체 등 저렴하게 제공

 

- 지역별 특화서비스 발굴을 위해 지방청, 지자체, 지역상의 등과 협조하여 지역특별관 입점업체를 발굴하고 지속적인 관리

 

중소기업의 복지투자 유도 등 중소기업 복지향상 모델 확산

 

ㅇ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복지포인트 지급기업을 성과공유기업으로 지정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 복지투자 유도(중기부 고시 개정)

 

* 성과공유기업으로 지정시 중소기업 지원사업 선정평가에서 우대(’19년 63개 사업 5.3조원 규모), 인재육성형 중소기업 지정평가 시 우대 등 혜택 부여

 

- 기업의 복지투자 수요를 복지플랫폼과 연결하기 위해 플랫폼 자체 결제시스템, 포인트 적립시스템 추가 등 복지플랫폼 고도화 추진

 

* 현재 플랫폼에서 직접 결제가 안되고 제휴업체 온라인몰로 연동되어 결제 가능

 

ㅇ (공동기금 연계) 공동근로복지기금 법인이 선택적 복지제도로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을 활용하도록 유도(고용부 협업)

 

* 고용부 공동근로복지기금 ‘20년 예산 172억원(’19년 42억원 대비 306.8% 증액)

 

- 공동기금별로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선택적 복지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복지패키지 제공

 

* (예시) 근로자 건강관리 패키지 : 건강검진 + 실비보험 + 건강용품 + 헬스클럽 등

 

ㅇ (大-中企 상생)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공동으로 자금 조성, 협력업체 근로자에게 복지포인트를 지급하는 사례 발굴 추진(동반위 협업)

 

맞춤형 홍보 및 마케팅 강화

 

ㅇ 가입이 저조한 비수도권 중심으로 현장설명회 개최 등 지역 중소기업 대상으로 복지플랫폼 인지도 제고 및 가입 유도

 

- 지역상의에서 공동기금 설명회에 참여하여 복지플랫폼 안내, 지역 유관기관과 협업해서 지역 내 시책설명회, 행사 등을 활용‧홍보

 

- 복지플랫폼 활용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홍보 컨텐츠를 제작하고 복지플랫폼 자체 SNS에 게시하는 등 온라인 홍보 병행

 

ㅇ 신규 구매 및 재구매에 대한 할인쿠폰 지급, 시즌별 기획행사 등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플랫폼을 이용하도록 다양한 행사 기획

 

- 복지플랫폼 이용 활성화를 위해 타 쇼핑몰에서 판매율이 높은 인기상품을 선별하여 특가행사를 하는 등 플랫폼 내부 프로모션 시행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