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PICK

[방구석IT/IT뉴스 큐레이션] 211220~211226

@ 모든 회원분들께



0. 개요
 너무 춥네요! 다들 따뜻하게 입고 다니시길! 추운 날씨 속에 올해의 마지막 큐레이션 뉴스 갑니다!

1. 주요 IT 이슈

SKT-카카오, ESG 스타트업 3사에 30억원 투자
-ESG는 한국에서 아직 생소한 개념이라 생각되는데요.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관심을 가지는 경영방식을 말합니다. 
미국과 실리콘벨레에서는 이제 아주 당연한 개념이 되었고, 
한국의 개혁적인 기업들이 여기에 관심을 가진다는 의미의 기사라고 볼 수 있을거 같아요. 
다만 아직도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CSV(공유가치창출)조차 자리를 잡지 못한 한국에서 너무 먼 이야기죠. 
그래도 하나씩 자리를 잡길 바래요!

토스, 유튜브-구글플레이 등에 토스페이 간편결제 적용
-너무나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해요. 토스는 식당의 테이블페이도 준비하고 있었으니까요. 
최근 토스의 고민은 토스 서비스가 확장되어 토스가 추구하는 ‘간편함’의 가치를 사용자가 이해하지 못할 것을 고민한다고해요. 
그러나 그런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토스가 걸어온 길을 보면 너무나 당연히 해결하지 않을까 싶어요. 
토스 같은 회사가 한국에서 성장한다는 것은 같은 IT인으로 큰 기쁨입니다!

머지포인트, 캐시백 지급 일정 무기한 연기
-지난 주에 머지포인트 대표 남매의 사기혐의 구속영장이 청구되었다는 내용을 공유했었죠. 
이제 알려질 만큼 알려졌고, 법적으로도 빠져나가기 힘들어졌으니 이것도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이런 서비스는 나오지 않기를!

스캐터랩, ‘이루다2.0’ 클로즈 베타 테스트 진행
- 이루다의 문제는 Ai 윤리만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도 있었죠. 
이미 발생한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는 이렇다할 반응이 없는 상태에서, 2.0을 진행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 의문입니다. 
그러나 ai 윤리 준칙,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나간다는 점은 앞으로 계속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을 가지게합니다.

1.1 비대면 시대의 서비스 확장
미국 비대면 수의사 상담 서비스 ‘닥터테일’, 투자 유치
건설인력 비대면 중개 ‘가다’ 운영 웍스메이트, 투자 유치
야놀자클라우드, 스마트 객실관리시스템 국내 출시
→야놀자-KT, 광주에 AI호텔 공동 조성
토스증권, 청소년 비대면 계좌 개설 서비스 개시
 -사실 비대면과 10년 넘게 한국의 IT를 지배해온 O2O는 그다지 다른 말이 아닙니다. 
하지만 꼭 온라인으로 진행해야하는 당위성이 없어서 오프라인과 병행하는 시대였죠. 
코로나는 꼭 온라인으로 진행해야하는 이유를 만들어주었고, 거기에 따라 비대면이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문 지식이 필요한 영역에서 비대면 서비스가 만들어진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1.2 라이브 커머스
지그재그, 찜 리스트 공유 서비스 ‘에픽’ 출시
티몬, 인플루언서 공동기획 브랜드 ‘위드티몬’ 런칭
-다른 내용의 기사같지만 사실 인플루언서의 취향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라는 점에서 같다고 봅니다. 
라이브 커머스도 결국 인플루언서가 좌우하는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이고, 그 증거들이 계속 서비스로 나타나고 있는 것 같아요! 
다만 서비스의 밝은 측면은 인플루언서가 중요하지만,
배송을 비롯해 서비스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많은 관심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1.3 제조업에서 IT로
중기부, 벤처 종사자 81만7천명, 4대 그룹 추월
중기부, 제조업 중심 ‘창업지원법’ 35년 만에 개정
- 하지만 아직도 한국은 제조업의 강자지, 소프트웨어의 강자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삼성은 세계적인 기업이지만 본질적으로 제조업의 강자이고, 세계에 내세울만한 소프트웨는 당장 생각나지 않네요. 
흔히 한국을 IT강국으로 이야기하지만 그것은 하드웨어가 주축인 인프라를 말하는 것이지,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세계에 내놓을 만한 포털, 검색, 클라우드, 앱마켓 어느 것도 가지지 못한 것이 한국의 현실입니다.
그나마 메신저 라인 정도나 세계무대에 있는 서비스라 할 수 있겠네요.
그러나 위의 두 기사는 앞으로 소프트웨어 강국이 되어갈 수 있다는 측면을 보여주고 있는 기사들이라 좋습니다.

정부, 국가 핵심기술인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추진
-기획자로, PM으로 자세히 봐야겠다 싶은 기사네요.
앞으로 한국 사회에서 10년 내로 PM이 2만 명쯤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라고 보고 있습니다만,
여전히 정부에서 기획자를 바라보는 시점은 ‘기술인력’이 아닙니다.
한편으로, PM이 사실 IT 쪽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애매한거 같기도 합니다.
PM이 기술인력으로 정의되는지 살펴봐야 할거 같군요. PM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핵심기술인력을 보호하려는 시도는 좋다고 생각해요!

2. 기타 정보 / 사설 / 읽을거리

개인정보 문제 없이 수집하는 방법
- 아주 앞선 개념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가이드라인 같아요!

슬로워크 조성도 대표 인터뷰
- 스티비가 슬로워크에서 시작한지 몰랐네요.
개인적으로 이메일 비즈니스가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는데, 이메일 비즈니스의 장점에 대해 잘 설명해서 공유합니다!
이메일 비즈니스가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서비스의 ‘개인화’, ‘콘텐츠’화 때문이에요.
이를 가장 좋게 전달할 수 있는 매체가 이메일 같고요.

카카오브레인 김일두 대표 인터뷰
- 스스로 AI에 깊은 관심을 가지지만, 한계도 명확하게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인데요. 그래서 이 인터뷰는 너무 놀라웠어요.
‘추론’의 영역을 말하는 부분에서요.
알파고가 바둑에서 ‘추론’을 한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엄청나게 많은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것이지, 추론은 불가능하다고 봤거든요.
그런데 ”아포카도 모양의 체어”의 언급에서 아보카도 모양으로 의자 디자인 콘셉트를 그려냈다는 부분이 놀라웠습니다.
실제 AI가 작성한 이미지를 보지 못했서 반신반의하고 있기는 합니다만, 정말로 가능하다면, 인류에 남을 혁신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개인정보 관련된 내용은 일할 때 참고하기 좋은 자료인 것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집순이 님이 2021.12.29 작성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