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C-쇼크가 흔든 경제, 기업 73%가 상반기 경영 목표 미달!



코로나19로 촉발된 ‘C-쇼크가 경제 전반을 뒤흔들면서 올 상반기 사업 계획 상 목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한 기업이 10곳 중 7곳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기업 236개사를 대상으로올해 상반기 목표 실적 달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73.3%달성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의 실적 달성률은 애초 목표 대비 평균 56%
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구체적으로는 ‘70%’(19.7%), ‘50%’(16.8%), ‘80%’(13.9%), ‘60%’(12.7%), ‘90%’(9.2%), ‘20%’(8.7%) 등의 순으로, 달성률이 50% 이하인 기업이 44.5%에 달했다.

상반기에 겪은 경영상 어려움은 단연 ‘
매출 감소’(74.6%, 복수응답)가 첫 번째였다. 이밖에영업기회 축소’(21.4%), ‘시장 성장성 후퇴’(17.3%), ‘유휴인력 증대 및 인건비 부담’(14.5%), ‘융자 중단 등 자금조달 어려움’(9.8%) 등이 있었다.

반면,
목표 실적을 달성한 기업(63개사)들은 평균 107%의 달성률을 보였다.
실적 달성 요인으로는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적은 업종임’(47.6%,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앗다. 다음으로발전 중인 산업으로 시장 성장성이 큼’(15.9%), ‘코로나 이슈가 호실적 요인으로 작용’(15.9%), ‘공격적인 영업, 마케팅에 따른 성과’(14.3%)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한 실적의 경우 역시,
전체 기업의 절반 이상인 54.7%하락했다고 답변했다. ‘동일하다는 기업은 25.8%였으며, ‘성장했다는 응답은 19.5%에 그쳤다.

올 상반기 실적이 역성장한 기업(129
개사)들은 지난해 대비 실적이 평균 29.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올 상반기 성장한 기업(46개사)들의 평균 성장률은 37%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대비 하반기 실적이 어떻게 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을까?
전체 응답 기업의 44.1%비슷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9.2%악화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26.7%좋아질 것이라고 답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좀 더 우세했다.

하반기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이유(69
개사)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것 같아서 84.1%(복수응답)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외에고객사/관계사가 어려워져서’(29%),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내수가 막혀서’(26.1%), ‘국제 정세/경기도 악화되어서’(17.4%) 등이 있었다.

반면,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 같은 이유(63개사)로는실적 지표가 개선되고 있어서’(50.8%, 복수응답), ‘코로나가 진정세로 돌아설 것 같아서’(22.2%), ‘코로나가 호재인 업종이어서’(12.7%), ‘상반기까지 R&D 등 경쟁력 강화에 매진해서’(12.7%) 등을 들었다.

한편,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한 조치로법인세 감면, 유예 등 세제혜택’(46.2%,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휴직 인원 인건비 등 긴급 자금 지원’(39.4%), ‘재택근무 실시 등 위한 인프라 지원’(20.3%), ‘공적자금 투입 등 내수 진작’(19.5%), ‘신규 판로개척, 마케팅 지원’(15.3%), ‘저리 대출 등 융자’(13.6%)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