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기업 51.3%, “작년보다 올해 경영 환경 더 어려울 것"

- 인력구조조정 불가피, 고용도 줄일 예정 
-
기업 90%, 코로나19 여파는 2021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 

https://pds.saramin.co.kr/promotion/02152021BusinessOutlookf.png


기업들이 보는 2021 전망은 암울했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 기업 575개사를 대상으로 ‘2021 경영전망 관련해 설문조사 결과 51.3%지난해 보다 어려워 이라고 답했다.

2021
경영에 악재로 작용할 있는 최대변수는 여전히코로나19 재확산’(58.6%)이었다. 이어글로벌 경기침체’(20.9%) 꼽았다. 기존과 다르게제조업 전통산업 침체’(5%), ‘정치적 갈등에 따른 정책변화’(3%), ‘/ 무역분쟁으로 인한 세계경기 위축’(2.8%), ‘환율/유가 등의 대외 리스크로 인한 수출경쟁력 하락’(2.6%) 등의 요인은 코로나19 비하면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보는 기업이 많았다.

고용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도코로나19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43.1%, 복수응답) 우선으로 꼽았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면으로 이뤄지던 채용 방식을 디지털로 전환하기가 쉽지 않은 여건이다 보니, 채용에 소극적이게 것이다. 다음으로 ‘2019-2020 실적 부진으로 인한 자금난’(29.9%), ‘임대료, 인건비 등의 고정비 물가 상승’(26.4%), ‘52시간제도 확대 정착’(23.7%) 등을 부담요인으로 선택했다.

코로나19 여파는 여전히 어려운 숙제다. 여파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기업이 89.6%였고, 가장 우려되는 점은매출 하락’(48.7%)이었다. 이어수익성 재무구조 악화’(21.4%), ‘채용계획 채용 규모 축소’(11.8%) 순이었다.

코로나19 인한 불투명성은올해까지’(32%) 보고 있는 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내년 상반기’(31.1%), ‘내년 하반기까지’(18.8%)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의 대비 전략은 비용 절감을 위한 인력 구조조정(34%, 복수응답) 다수였다. 2021 고용 전망도 밝지 않은 이유다. 계속해서근무방식 디지털 전환’(30.1%), ‘고용 취소’(21.9%), ‘투자유치’(17.1%) 등이 있었다.

2021
경제 전망은지난해와 비슷할 ’(47%) 다수였다. ‘회복세를 보일 ’(27.8%)이라는 관망도 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백신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경제가 회복되고, 일상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졌다. 경영활력 회복을 위해서는 내수활성화 지원, 세재지원 강화 정책이 동행돼야 신규고용도 진행될 있을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