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이직 직장인 58%, 충동적 퇴사 결정한 적 있어”

이직한 직장인 2명 중 1명은 충동적으로 퇴사나 이직을 결정한 경험이 있었는데, 그 원인은 ‘대인 갈등’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898명을 대상으로 “충동적으로 퇴사 및 이직을 결정한 경험이 있습니까?”라고 설문한 결과, 절반이 넘는 57.7%가 ‘있다’라고 답했다.

퇴사를 결심한 이유로는 ‘대인간 갈등 발생’(36.1%,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잦은 야근 등 근무환경 불만족’(33.4%), ‘경영진 등에 대한 신뢰 부족’(31.3%), ‘연봉 불만족’(26.8%), ‘회사의 미래에 대한 불안함’(24.3%), ‘상사의 인신공격’(18.5%) 등을 들었다.

충동적이었다고 판단한 이유는 주로 ‘작은 갈등 등 예상치 못한 이유로 퇴사해서’(31.1%, 복수응답), ‘전혀 이직 준비가 되어있지 않아서’(30.5%), ‘결심 후 바로 퇴사해서’(30.1%) 였다. 이밖에 ‘급한 퇴사 후 재취업이 생각보다 힘들어서’(26.4%), ‘조건이 별로인 곳으로 옮겨서’(15.8%), ‘이직 결심계기가 별거 아니라서’(5.4%) 등이 있었다.

충동적이었던 만큼 응답자의 33.6%는 퇴사 당시 충분한 인수인계를 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충동적으로 퇴사, 이직한 직장인들 중 40.9%는 이직한 것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이유로는 ‘근무 조건 등이 기대 이하라서’(31.4%,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연봉 등 더 좋은 조건을 놓친 것 같아서’(21.9%), ‘전 직장에선 없었던 불만요소가 생겨서’(19.6%), ‘기업문화 등이 낯설게 느껴져서’(13.4%), ‘전 직장과 똑같은 불만이 생겨서’(12.7%) 등을 선택했다.

이들 중 72.2%는 불만족해 재이직을 시도한 경험이 있었고, 이직에 불만족해 다시 전 직장에 재입사할 의향을 밝힌 경우도 47.2%였다.

한편, 이직 경험 직장인들은 이직 준비 기간으로 평균 4.3개월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 성공적인 이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뚜렷한 이직 목표 설정’(54%)와 ‘경력관리 맞춰 이직 설정’(30.4%)이라고 답했으며, 이밖에 ‘전 직장 업무의 원만한 마무리’(5%), ‘성과 축적 후 이직’(3.9%), ‘신중한 평판관리’(3.9%)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