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매거진

[데이터로 본 사람인] 희망연봉과 실제 연봉은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2023-08-10

안녕하세요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입니다.

 

채용을 진행하다보면 지원자가 작성한 희망연봉으로 많은 것을 파악하게 됩니다.

스스로 판단하는 가치와 능력을 파악하기도 하고, 채용이 확정된 지원자와의 연봉 협상에도 참고하기도 합니다.

또한 터무니없이 낮거나 높은 희망연봉을 보면 후보에서 탈락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연봉에 대해 어디에서 정보를 확인할까요?

보통 채용사이트에서 평균 연봉 테이블을 보거나 기존 재직자의 경력별 연봉정보를 참고하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연봉 정보를 찾아봅니다.

그리고 실제 연봉과 희망 연봉이 대략 10~20%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고 있지요.


좀 더 자세하고 현실적인 연봉 정보를 알 수 없을까?🤔 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여

최근 1년간 구직활동을 했던 지원자들의 희망연봉과 최근 경력에서의 연봉정보를 분석해보았습니다.

 

 

구직활동이 가장 활발한 경력년차는?

 

연봉 정보를 알아보기 앞서 구직활동이 가장 활발한 경력 구간부터 먼저 확인해보았습니다.

7월 사람인의 취업뉴스를 통해 3~5년차 경력의 구직자가 인재풀을 통해 이직제안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로도 구직자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입사지원이 가장 활발한 경력 순으로 3~5년차 > 6~8년차 > 신입🔥이었습니다.

또한 이력서를 가장 많이 업데이트 한 경력 순은 신입 다음으로 3~5년차 경력 구직자였습니다.

 

 



 

  

경력별 희망 연봉과 실제 연봉의 편차

 

그렇다면, 경력별로 희망연봉과 실제 연봉에 대해 좀더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입부터 20년 이상까지 구직자의 최근 1년 간 업데이트 된 이력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봉의 편차를 확인해보니

실제 연봉보다 희망연봉이 평균 약 21% 📈 높았습니다.

 

경력구간이 높을 수록 편차가 커졌으며, 시니어 및 관리자 급에 해당하는 9~11년차와 15~17년차로 진입하는 순간부터

실제 연봉과 희망 연봉의 편차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해당 편차는 직무와 경력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요,

편차가 가장 높은 직무는 27.6%의 IT개발·데이터이었으며 가장 낮은 직무는 14.1%인 의료였습니다.


편차가 가장 큰 4개 직종은 IT개발·데이터 >기획·전략> 마케팅·홍보·조사> 금융·보험 순이었습니다.

 

실제 연봉보다 희망연봉이 약 26.6%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또한 경력연차가 늘어나는 구간부터 연봉의 편차가 아졌습니다.

구직자가 쌓은 다양한 경험, 경력, 스펙등을 높게 평가하여 희망 연봉을 높게 작성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편차가 가장 작은 4개 직종은 고객상담> 서비스> 운전·운송·배송>의료 직종으로,

연봉 편차가 14~17%정도 차이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회사 규모와 업계 현황보다 터무니없이 높거나 낮은 희망연봉을 제시한 구직자는 채용 선별에서 제외하기 어렵지 않겠지만,

희망연봉은 높은데 채용을 하고싶은 구직자의 경우 제시한 희망 연봉에 대해 구직자가 판단 기준은 무엇인지

면밀하게 파악을 해야 합니다.

또한 평판 조회나 면접시 질문을 통한 역량 및 특성 파악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사람인 내 구직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희망연봉과 실제 연봉의 편차를 직무와 경력구간을 바탕으로 확인해보았습니다.

이 분석 자료가 채용과 여러 업무로 바쁜 인사담당자님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사람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재미있는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 게시글은 사람인 구직자의 최근 1년간 구직 활동 DATA를 기반으로 희망 연봉과 실제 연봉 데이터를 경력별, 직무별로 집계한 자료이며 무단 게재나 상업적 용도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이 콘텐츠와 연관된 서비스 

 

직무, 경력, 희망연봉으로 원하는 인재를 검색해보세요!
👉인재풀 바로가기> 

채용을 계획중이신가요? CHAT GPT로 1분만에 공고를 작성해보세요
👉채용공고 등록하기>

마음에 드는 인재가 우리에게 적합한 인재일까 확인하는 방법!
👉인적성 평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