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영업
“해외영업” 관련 이야기를 공유하는 방입니다
전체 84
  • HOT 97년생 눈물나요. 해영
    지거국 해외 인턴 2회 (공기업),해외경험 ; 단기 계약직 (유럽) 1달 , 인턴 6개월(중동), 인턴 6개월(홍콩), 중,고 유학 6년,대외활동,자원봉사 7회 이상 수상경력 2회수행통역 아르바이트 4회이상무역영어1급 토익 945 해외영업 중견기업도 다떨어지네요 ㅠㅠ. 직무 관련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요즘 고스펙자가 많아서 그런지 힘드네요.. 중소에서 일하다가 이직을 하는게 답일까요?… 
    공감 3
    댓글 17 조회 1,750
    nGEwzPS4Qplimo5님이 7일 전
    자세히 보기
  • 30대초 고졸
    제목대로 30대 초반에 고졸인데유년기는 해외에서 자랐으며경력은 요식업 8년에 영어학원 1년 넘는데취업이 가능할까요?된다면 어느쪽으로 방향을 잡아야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ㅜ
    공감하기 댓글 5 조회 56
    s8Y1OXXy4o4sjPf님이 2024.05.09 작성
    자세히 보기
  • 2년 다되가는 신입인데 이직 준비해도될까요
    말그래도 입니다대랃 졸업 후 바로 취직해서 2년 거의 다되가는데 회사가 너무 불안정해서 이직하고싶어요 지금 다니고있는 회사는 중견이지만 현재 사업의 미래가 보이지 않아요.. 근거로 최근 구조조정도 있었고 작년 적자입니다 사실 신입인 저에게 구조조정이 무섭게 다가오지 않았지만 내년도 이럴거 생각하면 막막해서 3년을 선뜻 채우기가 쉽지 않아요 이 경우에 경력인정은 욕심이고 중고 신입으로 라도 이직을 준비해야 할까요?
    전문가 답변 "안녕하세요 경영기획 직무 재직중인 프로 한라산입니다. 현재 사업의 미래가 보이지 않아서 걱정이 많으시군요. 2년 정도 근무하셨는데 회사의 상황을 파악하신걸 보니 점점 좁아지는 현재 입지를 빨리 파악하신 것 같습니다. 전혀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이라도 2년 경력 살려서 이직하시면 됩니다. 완전 신입보다 경력이 어느 정도 있는 경우를 회사는 더 반기는 추세이니 좋은 곳으로 이직에 성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위기라고 생각하시는게 기회입니다. "
    공감 1
    댓글 7 조회 77
    mhgXxbvs38SU6I5님이 2024.05.07 작성
    자세히 보기
  • 1년 미만 신입의 이직 타이밍: 원래 목표 직무로 이직 준비 VS 1년 채우고 이직 준비
    안녕하세요? 스스로 자책하기보다 조언을 구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 글 올립니다.1년이 채 안된 신입입니다. 졸업 후 급한 마음에 덜컥 입사한 것 같아 이직 타이밍을 고민 중입니다.원래 목표했던 곳은 무역 사무(이후 해외시장개척으로 장기 목표..)였는데, 입사한 곳은 국내 영업입니다. 공백기간 싫어서 여기에서라도 경험쌓고 이직하자는 생각이었는데 직무가 다르다보니 다른 불안감이 듭니다.현재 회사에서 배우는 것이 제가 목표하는 직무에서 활용 가능한 경력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무엇보다도 가족 경영의 폐혜, 까라면 까, 보상 없음이 너무 힘드네요. 사장이 회사 매출 타격이 발생했었는데(본인 실수 때문) 감정 격해지셔서 제 업무 실수를 꼬투리 잡아 해고 협박했던게 정떨어진 가장 큰 이유고요.1 현 회사를 다니면서 목표했던 곳으로 이직 준비 해보는게 좋을까요?   : 이 경우에는 이력서에 재직 중인 곳을 지우는게 좋을까요?지운다면 공백이 1년이 넘습니다. 대신해서 자격증이든 뭐든 채워 두어야할 것 같습니다2 아니면 일단 1년은 채우는 것이 좋을까요? : 시간지날수록 물경력 될까봐, 그리고 이직 이후 나이가 걱정입니다.
    전문가 답변 "안녕하세요. 12년차 직장인 스타트업사업개발 입니다. 고민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으시겠지만, 분명 잘 이겨내실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해요. 최근의 채용 시장이 좋지는 않은 것이 현실이에요. 다만 무엇을 준비하고 다시 구직을 하기 보다는 현 시점에도 꾸준히 원하는 분야의 공고를 살펴보고 지원을 해보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어요. 회사의 입장에서 현재까지의 경력이나 이전의 전공, 어학, 인턴 경험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서 채용을 진행하는 만큼 우선 현재 시점에서 시도해보고 반응을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목표했던 곳이 어떤 특정 자격이나 전문성을 요구한다면 현재 회사에 잔류하면서 업무에 대한 경험과 자격이나 전문성 준비를 병행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업무에 대한 경력이 도움이 안될 수 있다고 하시지만 실제 커뮤니케이션 역량, 문제해결에 대한 경험 등 보편적으로 회사에서 기대하는 직원의 역량에 대한 부분은 회사에서 쌓아야 하는 경험이므로 이를 최대한 쌓는다고 접근해보면 어떨까요."
    공감 1
    댓글 8 조회 388
    헤카님이 2024.04.28 작성
    자세히 보기
  • 취뽀직전 고민
    저는 패션벤더기업 해외영업직 직무를 희망하고 있습니다.현재 중견벤더기업 1년 계약직으로 연봉 3500만원 2차면접까지 합격하고 이제 서류만 확인하면 되는데요, 아마 제가 해외영업직으로는 경력이나 경험이 없어서 일을 배워나가고 주로 support 하거나 작은 일들 위주로 맡게 될 것 같습니다.헤트헌팅으로 제안이 계속 들어오기는 합니다만 중소 의류기업 연봉 4000으로 머천다이징 직무로 들어와서 이 기업도 면접 보고 어떤 일들을 구체적으로 하게 되는지 알아보고는 싶습니다. 중견기업 계약직 최종서류 확인 전에 이 기업도 좀 알아보고 만약에 제가 하게 될 일들이 중대한 업무들이라면 힘들더라도 저의 커리어에 더 발전이 높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이런 고민 드는데, 중견기업 최종까지 됐으니까 바로 서류 ok하지 말고 그 전까지도 들어오는 기회를 잡아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까요?
    전문가 답변 "안녕하세요 제조설비 영업직무 재직중인 프로 섞어섞어 입니다.먼저 저의 댓글도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우선 최종합격 축하드립니다!합격하신 중견기업과의 계약 일정에 여유가 있으시다면 헤드헌터분께 제안 받은 업체의 면접도 참여해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물론 MD는 영업과 조금 차이는 있지만 좀더 포괄적인 업무를 할 수도 있습니다.업무에 대한 내용은 헤드헌터분께서 아시는 분들도 있으니 물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혹은 정확한 JD를 요청하여 검토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연봉도 연봉이지만 장기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회사에 입사를 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최종 계약 전까지 다양한 기회가 있다면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공감하기 댓글 2 조회 99
    ixTPtE0I9c81zRx님이 2024.04.15 작성
    자세히 보기
  • 해외영업 커리어 관련 질문
    해외영업 5년차입니다.제조업쪽에서 근무하다가 산업군을 소비재쪽으로 산업전환을 하고싶은데 해외영업 하시는 분들중 산업이 적성에 안맞는데도 괜찮으신분들 계신가요?(문과생인데 공학쪽 산업 근무 등등)
    공감하기 댓글 1 조회 19
    6SqTpxPNdhO9BuF님이 2024.04.05 작성
    자세히 보기
  • 중소기업 중화권 해외영업
    이번에 중소기업 해외영업부서 취칙했습니다.연봉은 3000중반에 협의했구요일단 제 스펙은 중국 해외유학 13년중국 현지 호텔,콘서트,식당등에서 아르바이트 및 실습경험했구요관련자격증은 hsk 6급tsc 7급토스 ih운전면허이게 전부네요...다름이 아니라 이제 첫 해외영업 일을 시작하는데 벌써 걱정할게 한두개가 아닙니다.1.해외영업 신입사원으로써 알아가야할것들2.중국어는 자신이있는데,영어가 많이 약해요... 업무관련해서 영어 실력을 향상시킬만한 팁이 있을까요?3.3년정도 경력쌓고 경력직으로 중견을갈 계획인데 이떄 어는부분들을 보강해야 할까요? 
    공감하기 댓글달기 조회 118
    CweTkSUUeDRXJMk님이 2023.09.06 작성
    자세히 보기
  • PICK 33살에 서성한 공대 석사 입학 맞는 선택일까요?
    안녕하세요.저는 33살 현재 중견기업 설비 로봇 분야 해외영업 재직 3년차 입니다. 이번 후기에 서성한 일반대학원 로봇학과 석사로 면접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 스펙은 국숭세단 경영 학사 (편입 졸업), 미국 유학 5년 (고등학교,대학2년) 대기업 계열사 및 공기업 인턴 1년, 영어연설대회 수상 다수, 군필석사의 목적은 1) 영업 직무에서 개발 직무로 커리어 확장 - 설비 로봇 제조분야에 근무하면서 문과 사무직의 커리어 성장 한계를 느낍니다. - 그냥 외국어+학사보단 외국어 + 공대 석사가 해외영업에도 더 유리- 현 직장은 출장이 많아서 병행이 불가하고, 분위기나 문화도 적성에 안맞습니다. 2) 현 재직 중 직장보다 더 높은 레벨로 점프 3) 장기적인 메리트: 부모님이 모두 박사셔서, 석사를 지원해주신다 합니다. - 향후 정년퇴직 할 나이에 학사만 있는 것 보단, 공대 석사가 있는게 저에게 메리트라고 하십니다. - 한살이라도 어릴 때 석사 마치라는 부모님 다만 졸업하면 35살 입니다..공대 석사로 가는게 맞는 선택일까요?
    공감하기 댓글 2 조회 152
    dccUqsHV6HuIROK님이 2023.08.01 작성
    자세히 보기
  • 24살 여자 무스펙 직무 고민
    안녕하세요. 내년 2월 졸업 예정인 24살 여자입니다.이제 정말 스펙 준비할 때가 된 것 같아 직무 고민을 하던 중 답을 내리지 못해 글 올려봅니다.전공은 일본어 단일 전공이고 학점은 3.8/4.5입니다.자격증은 2021년에 딴 JLPT N2 단 하나 뿐입니다. 7월에 칠 N1 공부중인데 솔직히 딸 자신은 없네요...ㅠㅠJLPT가 끝나면 바로 컴활과 토익 공부를 시작할 것 같습니다.경력은 키즈카페에서 4년 근무 했고 그중 2년은 매니저로 일했습니다.매니저로 일하는 동안 단골 분들도 많이 생기고, 직원 퇴사율도 줄어드는 등 알바하면서 평가는 좋았어요.지금은 취준에 집중하고 싶어서 그만 뒀구요대외활동, 봉사, 인턴 경험은 전혀 없습니다. 그나마 지금 하고 있는 건 스터디그룹, 취업동아리 정도네요직무는 인사, 마케팅, 해외영업 중에서 고민 중인데 사실 제일 끌리는 건 해외영업입니다..그런데 제가 무역, 경영, 영업에 대한 지식도 전혀 없고, 비전공자라서 가능성이 전혀 없을 것 같습니다 ㅠㅠ희망 직무를 해외영업원으로 결정하면 국제무역사 1급 자격증을 준비하게 될 것 같지만 그걸로는 어림도 없을 것 같아서요..아니면 일본계기업에서 인사직이나 마케팅 직무를 맡고 싶은데요.. 마케팅은 관련 경력이 없으면 취업 문 두드리기 힘들다는 얘기가 많더군요물론 인사직도 관련 지식과 자격증이 없어서.. 어떤 선택이든 지금의 저에겐 너무 막막하기만 합니다.아직까지 내세울거라곤 알바 경력 4년 뿐인 제가 어떤 직무를 준비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전문가 답변 "안녕하세요, 커리어챗 담당자입니다.\b 취업 준비 고민, 경력자분들께 답변을 듣고싶으시다면 사람인 커리어챗으로 가보세요! 사람인 커리어챗에서 현직자 분들과 실시간 채팅 나눠봐요:) 커리어챗 바로가기 https://m.saramin.co.kr/career-chat/channel?channel_no=55&appmode=need_login?inner_source=community"
    공감 1
    댓글 1 조회 624
    Sx309iuflsk9님이 2023.06.09 작성
    자세히 보기
  • 29 | 남 | 해외대 이공계 졸업생 | 고민
    영어권 국가에서 기계 & 메카트로닉스 전공하고, 현지에서 취직하려고 1년간 인턴과 이력서를 셀 수도 없이 돌리다가,귀국해서 국내 취직을 준비중에 있는 청년입니다.이공계열인데 학사라서 개발은 못 들어가고,영어는 한국어만큼 할 수 있다는게 유일한 장점...대기업과 중견기업 위주로 알아보고 있고, 한두번 떨어지는 걸로 슬퍼할 유리멘탈도 아니지만, IELTS 8.0, 토익 스피킹 lv.7, 국회 인턴, 관련전공 인턴 등등 경험은 다양하게 있는데, 국내에서의 취준생활에 앞서 전/현직자분들께 객관적인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요 ,
    공감하기 댓글달기 조회 110
    gbIWKhoRFtqFO19님이 2023.05.23 작성
    자세히 보기
  •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