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초봉3500 vs 3800 초봉연봉 중요할까요?

@ 모든 회원분들께
1.초봉 3500 체계잡힘. 2030 연령층
젊은 사수 있음.

2.초봉 3800 주로 30대 이상 연령층 
사업확장으로 혼자해야됨.
둘다 연구직

석사초봉 연봉 이직시 중요할까요. 
2번은 조금 두려운게 있는데 복지나 사람들이 좋아 퇴사율이 매우 낮은것 같아요. 
1번은 면접시 대표님도 못보고, 물도안주고 ㅋㅋ첫인상이 안좋지만 그것만으로 전체를 판단하기엔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젊은 사수와 업무의 체계가 있습니다. 잠깐 면접때 겪은게 다지만요. 

초봉연봉 높은곳으로 가는게 좋다고들 하는데 얼마나 중요한가요? 추후 이직때 크게작용하나요?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2번 이건 케바케이긴 하지만 연봉을 떠나서 혼자서 주도적으로 본인의 역량을 펼칠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고
    그런 경험에 의해 경력으로 만들었을때 추후 이직시 이력서에 좋은 작용을함
    1번은 체계가 너무 있으면 이미 잡혀있는 체계에 본인이 할수 있는 역할이 한정되어 있음 더구나 사수가 있으면 더더욱 힘들것이며
    그 사수가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또한 알수없기에 여러모로 2번을 추천함
    단 2번의 경우 본인이 업무를 주도하애 진행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하나 도전을 기피하는 스타일이라면 1번이 안정적일수 있음
    본인의 성향과 능력을 스스로 판단해 본 후 1번과 2번을 어떻게 해야할지 답을 정하길 바람


    0vaKtgx0j15DHvJ 님이 2022.04.20 작성
  • 전 선택하라면 2번 할래요 결국 혼자하다가도 안되면 박사급 뽑아줄꺼거든요 그리고 어쨌든 석사과정하면서 혼자 아예 못할거도 아니고 추후 내가 혼자 이만큼 했다고 하면 이직때 경력쓰기도 더 좋을꺼 같구요
    EijmfJOZVS1jitE 님이 2022.04.18 작성
  • 스타트업이나 중소에서 대표면접이 없다면 거르는게 맞구요,
    사수가 착하다는 보장이없지만, 혼자서 커리어쌓는건 다른문제에요
    무조건 체계가 있어야 시니어급 갈때 도움되요
    qWvqGs9wpZHtQxo 님이 2022.04.18 작성
    신입이거나 주니어라면 1번선택하세요
    qWvqGs9wpZHtQxo 님이 2022.04.18 작성
    조언감사합니다. 2번에서 재오퍼가 와서 연봉 500차이나는데..그래도 신입이니 1번으로 기울었습니다.
    크게보자 님이 2022.04.18 작성
    저는 다른직무의 경력자 입니다. 동료가 좋아도 도와주는 사람이 없으면 정말 힘들어요.. 일하다보면 내가 맞게 가고있는건데도 일의 방향성이 이게 맞나? 라는 생각이 가끔씩 드는데 그때 사수가 없으면 정말 멘붕이죠.. 다른 부서 사람들이 착하다고 님을 도와줄 입장은 안되니 모든걸 님이 스스로 정의해서 일해야합니다. 또한 연봉협상 하려면 성과가 있어야하는데, 성과측정 방법이 직무마다 다르자나요? 그런걸 사수한테 배워서 이직할때 써먹어야 자기 밥그릇 챙길 수 있어요.. 그리고, 면접때는 누구나 다 친절합니다. 막상 뽑을것처럼 해놓고 불합격 주는 경우 마니봐서요..
    qWvqGs9wpZHtQxo 님이 2022.04.20 작성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