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PICK

품질 전문가 입니다.

@ 모든 회원분들께
취준생분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시면 빠른시간내에 답변 해드릴께요.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식품 품질관리(이화학 및 식품 분석)인데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생산 업무를 맡겨주셨습니다. 제가 원하는 직무가 아닌데.. 원래 식품은 생산부터 배우나요? 건기능이나 제약이랑은 좀 많이 다른 느낌입니다.
    5pDLMmViSni6fYu 님이 2022.10.05 작성
  • 제조업 품질경영팀 입사했는데 qc반으로
    정밀검사 조립 현미경 3차원측정 등 하는데 서류업무를 안합니다 나중에 이직시 경력 도움이 될까요?
    ALowPuotTMKRPYM 님이 2022.09.29 작성
  • 안녕하세요.

    철도차량 품질직무에 종사하는 1인입니다.
    해당직무가 철도차량산업에 국한되어 이직에대한 카테고리가 너무 줄어들고, 양산후 검증하는 단계에서 인력이 매우 딸리는 상황이라 실태는 정말 초라하기 짝이없습니다. 정확한 업무표준도 없는 실상이구요.

    내가 품질일을해보겠다, 품질보증일을 하겠다 하면 분야를 막론하고 기업지원시 제일 현업에서 우대하는 실질적인 자격증이 뭔가요? 저는 산업안전쪽 자격증과 어학자격증 두개 보유중입니다.

    이직준비중인단계인데 플랜을 세워서 방향을 정확하게 잡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rcPnOqIkJJZfGUp 님이 2022.09.08 작성
    1. 품질쪽 경력이 많지않아 최종적으로 학사나 석사에대한 압박이 큰지(본인은 전문대 출신)

    2. 경력을 더 쌓아야할지 조금이라도 어릴때 학사를 관련 전공으로 맞추어서 취득(준비) 해야할지

    3. 제조업 기반 품질보증을 배울수있는 전망있는 산업분야가
    어디인지.

    혜안이 부족하여 답답한 심정입니다.
    rcPnOqIkJJZfGUp 님이 2022.09.08 작성
    @rcPnOqIkJJZfGUp 1. 고초대졸이나 학사, 석사 학력에 대한 압박은 없습니다.

    2. 학사 취득을 하더라도 달라지는건 없습니다.

    3.제조업도 워낙 광범위하다보니.. 어딜가나 품질보증은 다배울수있습니다.
    누구나취업가능 님이 2022.09.08 작성
    @누구나취업가능 양산 품질보증의 미래에대한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저는 부품단위 품질보증을 맡고있습니다.
    rcPnOqIkJJZfGUp 님이 2022.09.08 작성
  • 기기분석 분야로 석사입니다.
    경력은 6~7년 정도고 남들보다 늦게 대학원 가서 나이는 30대 후반입니다.

    농약 분석법 개발이 주 전공이고, 식품 분석은 대학원 때 2년정도 병행했고, 지금은 4년째 생체시료 내 펩타이드 분석 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쪽인데..너무 스트레스 받고, 데이터 조작하는 꼬라지도 너무 보기 싫고, 재밌어서 시작한 분석이 재미가 없어졌습니다.
    제약이나 바이오쪽 품질관리에 눈을 돌리고 있는데...이직이 가능할까요?
    농약 분석하는 회사 다니면서 GLP는 초반 셋팅을 좀 해봤고, SOP, 보고서 작성은 뭐 수시로 했습니다.
    분석법 개발하고, validation하고 해당 분석법으로 신뢰도 높은 결과 산출해 내는 일련의 과정이 이제는 딱 제 적성에 맞는 것 같습니다.
    연봉이 지금 6300 인데..품질 쪽에 경력이 인정되서 이정도 연봉 받으면서 다닐 수 있을까요?
    이력서 넣고는 있는데 연락은 잘 안오네요..
    POIUZXCVMNBV 님이 2022.08.29 작성
    안녕하세요. 저희팀에도 석사 출신에 연구소에서 품질관리 및 보증으로 온 케이스가 있습니다. 저또한 연구개발 하다가 품질로 넘어온 케이스 인데요. 다만 다른거 보기에는 괜찮지만 품질에 대한 경력이 없기에 말씀해주신 연봉에는 대기업도 힘이 듭니다. 이유는 갓 졸업한 신입~3년차 보다 품질관리나 보증 업무에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게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품질 업무, 고객사 및 협력업체 관리, 오디트, 기타등등 그러한 업무가 없기 때문에 경력으로 힘들지만 연봉이 조금 깎고 들어가 품질에 대한 경력을 채우셨으면 좋겠습니다. 연구개발은 연구소에 대한 QC QA 하는거 알고 있지만, 깊숙하게는 안하고 있는게 연구소 이지요. 감사합니다
    누구나취업가능 님이 2022.08.29 작성
    @누구나취업가능 답변 감사합니다. 고객사 또는 협력업체에 대한 관리까지 하는지는 몰랐네요. 연봉을 일부 깎고 입사하는 부분은 크게 상관은 없으나...그 정도가 1000만원 이상이면 좀 어렵긴 하겠네요 ㅠㅠ 품질관리에 대한 지식이라고 하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POIUZXCVMNBV 님이 2022.08.30 작성
    @POIUZXCVMNBV 그렇죠. 기존 연봉도 있으시고 연구개발 경력을 깎아서 갈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품질관리 어쩌면 어렵고 쉬운 직무 이지요. 품질관리나 보증은 직접 경력을 채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누구나취업가능 님이 2022.09.02 작성
  • 연봉이 얼마인가요
    EUu9FRffYoSx1zI 님이 2022.08.28 작성
    기업 규모마다 다르기에 딱히 말씀드리기가 힘드네요.
    누구나취업가능 님이 2022.08.28 작성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