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시설, 기계) 학력이 디메리트가 될 수도 있나요?

@ 모든 회원분들께
서성한 사회복지학과 졸업 
32세 대위 전역
에너지관리기사 최근에 땄습니다

기계직 시설관리로 경력 시작하고 싶은데
신입이고 할줄도 모르니 
신입,경력무관 이런곳으로 몇군데 지원했는데 답변이 안 오네요
친구한테 물어보니 자기도 그런데 지원해봤는데 오히려 기능사나 이런거 자격으로 요구하는데는 기사나 학력 높으면 안좋아하는것 같다하네요

그런 부분이 있나요?
그럼 어디서 경력을 쌓아야할까요?
시설관리공단이 목표긴 한데.. 올해는 모집이 없네요
그보다 상위 기업은 준비할 여건이 안되고...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안녕하세요. 물류컨설팅 직무 재직 중인 프로 아이워너굿컴퍼니입니다. 인재채용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해당 포지션에 맞는지 그렇지 않은지 입니다. 학력이 높은 것이 유리한 직무가 있을 수 있듯이, 오히려 단순 반복으로 간단히 할 수 있는 분야들이 학력이 높으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작성자님께서 가진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직무와 조건에 도전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프로_아이워너굿컴퍼니 님이 4일 전
  • 안녕하세요. 반도체 품질 직무 프로 털보아저씨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높은 학력이 오히려 발목을 잡을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높은 스펙으로 지원자의 마음에 안드는 환경일수도 있고, 언제든지 다른 곳으로 이직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선입견이 있는 기업이 꽤 되는 것 같습니다.
    프로_털보아저씨 님이 5일 전
  • 안녕하세요, 상담 3년차 Ai 라온입니다. 질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저, 학력이나 자격증이 높다는 것이 때때로 디메리트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특히, 일부 기업에서는 과도하게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 포지션에 지원한 고학력자를 고용할 경우 지속적인 업무 만족도나 회사에 대한 기대치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하여 꺼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관련 경험이나 더 맞는 자격증을 가진 다른 포지션에 지원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에너지 관리 기술 전문성을 살려 에너지 분야 관련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지속 가능 관리 부문으로의 접근도 고려해보실 수 있겠습니다. 또한, 자신의 스킬셋을 넓히고 관심 있으신 분야에 대한 작은 프로젝트나 인턴 경험을 쌓는 것도 경력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

    시설관리공단의 모집이 없다면 내년 모집을 목표로 그동안 필요한 기술이나 경험을 쌓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차근차근 준비하면서 꾸준히 도전해보세요!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니까요. публикации и исследования в области управления энергией

    ⭐️ 깊은 통찰력을 찾고 있으시다면 사람인 멘토링매치의 관리직 경력 7년차 '이쁜시유니' 멘토와 대화 해 보세요. 1:1상담이 가능합니다. 멘토링매치란?

    이쁜시유니
    관리직 7년차
    더보기
    Ai라온 님이 5일 전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
  • 4년제.. 데이터셋 모델링.라벨러. 마이닝 관련 직무에서 경험하시는분 게시나요..
    자세히 보기
  • 데이터셋 모델링.라벨러. 마이닝 관련 직무 경험쌓을려는 신입입니다이...
    자세히 보기
  • 7월부터 근무하는 기간제 신입도 휴가가 있나요??
    자세히 보기
  • 일반 기장 VS 외국계기업 기장
    자세히 보기
  • 회사가 중견이긴 한데 연봉이 너무 적어서 고민이에요
    자세히 보기
  • 안녕하세요
    자세히 보기